<목 차>
안녕하세요. 모어캐시입니다.
요즘처럼 금 시세에 민감한 시기에는 많은 분들이 골드바에 관심을 가지십니다. 저 역시 금값 조정 시기가 올 때마다 소량씩 꾸준히 골드바를 구매하고 있습니다. 단골 가게도 생겨 온누리상품권이나 현금을 활용해 비교적 저렴하게 구매하고 있지만,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골드바에도 공임비가 붙는다고 들었는데, 정확히 얼마나 붙는 걸까?"
처음 금을 살 때는 그냥 시세만 보고 가격을 비교했는데, 알고 보니 공임비라는 항목이 따로 있더군요. 공임비는 생각보다 금액 차이가 크기 때문에 초보자라면 반드시 알고 넘어가야 할 부분입니다. 저도 초기에 공임비를 잘 몰라 같은 100g 골드바를 샀는데 매장에서 제시한 가격이 3만 원 이상 차이 나 당황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골드바 공임비란 정확히 무엇인가요?
골드바 공임비는 쉽게 말해 금을 제련해서 바(덩어리)로 만드는 과정에 들어가는 가공비용입니다. 금은 국제 시세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지만, 이 금을 실제로 쥘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데는 공정과 기술이 들어가기 때문에 그에 따른 비용이 붙는 것입니다.
공임비는 골드바의 무게나 브랜드, 그리고 구매처에 따라 다르게 책정됩니다. 유명 브랜드일수록, 소량일수록 단위당 공임비가 비싼 편입니다. 또 같은 브랜드의 제품이라고 해도 매장마다 공임비가 다르게 책정되기 때문에 사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셔야 합니다.
한국에서의 평균 공임비, 어느 정도일까?
공임비는 고정된 가격이 아니고 시장 상황이나 유통점의 정책에 따라 유동적입니다. 다만, 아래 표를 보시면 대략적인 평균 공임비를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단골 가게에서는 현금 거래로 약간의 공임비 할인을 받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름 없는 가게에서는 동일한 중량의 골드바를 샀는데 공임비를 2배 가까이 더 받는 바람에 당황했던 적도 있습니다. 이처럼 가게마다 기준이 다르니 꼭 가격표를 꼼꼼히 확인하시길 추천드립니다.
공임비를 아끼는 방법은 없을까?
공임비를 무조건 줄일 수는 없지만, 현명하게 줄이는 방법은 있습니다. 우선, 정식 유통처에서 여러 곳을 비교해보는 것이 기본입니다. 온라인몰과 오프라인 매장을 비교해 보면 동일 제품인데도 공임비 차이가 수만 원 이상 나기도 합니다.
또, 무게가 무거울수록 단위 공임비는 낮아지기 때문에 자금 여유가 있다면 100g 이상으로 묶어서 구매하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마지막으로, 온누리상품권이나 카드 혜택을 활용해 실질적인 구매가를 줄이는 것도 하나의 팁입니다.
저처럼 단골 가게를 만들어 두고 미리 공임비를 협의하거나, 여러 번 거래를 통해 신뢰를 쌓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골드바 투자, 공임비도 꼭 고려하세요
금 투자는 단순히 금 시세만 보고 결정할 일이 아닙니다. 실제로 손에 쥐는 골드바는 공임비라는 추가 비용이 들어가므로 투자수익률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저도 골드바를 처음 구매했을 때는 단순히 '시세보다 싸다'는 이유로 선택했지만, 공임비를 감안하면 결코 싼 가격이 아니었음을 뒤늦게 깨달았습니다.
결론적으로, 골드바 투자에서 공임비는 숨겨진 비용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결코 무시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앞으로도 금값의 흐름을 살펴보며 조금씩 구매할 계획이지만, 매번 공임비를 꼼꼼히 확인하는 습관을 잊지 않으려 합니다.
'골드바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폐공사 실버바 1kg, 은 투자 이렇게 시작하세요 (0) | 2025.04.20 |
---|---|
프레스 vs 주물 골드바,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0) | 2025.04.19 |
온누리상품권으로 골드바 구매 가능한 매장 리스트 (0) | 2025.04.16 |
온누리상품권으로 금 구매 방법, 확실히 싸다! (0) | 2025.04.14 |
골드바 투자 보증서 꼭 필요할까? (1)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