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안녕하세요. 모어캐시입니다.
요즘 주변에서 “금값이 또 올랐대!” 하는 이야기, 정말 지겹게 듣고 계실텐데요. 저도 사실 몇 년 전부터 금 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실제로 투자도 하며 꾸준히 금시세를 체크해오고 있습니다. 부모님께서도 직접 금 투자를 하시고, 늘 금은 사두면 손해 안 본다고 하셔서 그런지 자연스레 관심이 이어졌습니다. 오늘은 2025년 이후 금 투자 전망에 대해, 제가 공부하고 느낀 점들을 중심으로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물론, 금은 언제나 오르는 건 아닙니다.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이지만, ‘절대 안 떨어지는’ 자산은 아닙니다. 특히 요즘처럼 가격이 비싸졌을 때는 과열 우려도 존재하죠. 전문가도 말했듯이, 2020년에도 ETF 투자 열풍으로 금값이 급등했다가 조정을 받았던 전례가 있습니다. 그래서 단기간 내 수익을 기대하기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분할 매수하는 것이 더 현명한 전략이 될 수 있겠습니다.
2025년 금 시세 전망은?
금값은 이미 2024년에 사상 최고치를 몇 차례 경신했습니다. 미국의 금리 동결, 달러 약세, 글로벌 경기 둔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인데요, 2025년에도 이런 기조는 어느 정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미국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경우 금값은 다시 한 번 상승세를 탈 수 있습니다.
TV 경제 뉴스에서는 올해 아래와 같이 전망하더군요.
이 표를 보면 금값은 단순히 하나의 변수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금 투자를 할 땐 짧게 보지 않고, 적어도 몇 년은 보고 가져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실물 금, ETF, 금 통장? 어떤 방법이 좋을까
저는 처음 금 투자를 시작할 때는 한국금거래소(Korea Gold Exchange)에서 3.75g짜리 미니골드를 구매했습니다. 눈에 보이는 실물이라 그런지 왠지 든든하더라고요.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금 ETF나 금 통장에 대해서도 관심이 생겼습니다. 각각의 장단점을 간단히 정리해드릴게요.
- 실물 금: 직접 보관 가능하지만 분실 위험, 수수료 발생
- 금 통장: 1g 단위로 거래 가능, 접근성 높음
- 금 ETF: 환금성 좋고, 세금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음
요즘엔 금을 다양한 방식으로 투자할 수 있기 때문에 본인의 투자 성향과 목적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현재 실물 금과 금 ETF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금 투자, 언제가 좋은 타이밍일까?
솔직히 말하면 '정확한 타이밍'이란 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 같은 경우는 일정 금액을 정해서 매달 나눠서 사는 방식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소위 ‘분할 매수’ 전략인데요, 가격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꾸준히 투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요즘처럼 국제 뉴스가 하루가 멀다 하고 바뀌는 시기에는 단기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적립식 투자가 훨씬 마음 편하더라고요. 물론 갑자기 급등한 시점엔 한 발짝 물러서는 것도 필요합니다.
마치며...금 투자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돌이켜보면 부모님께서 늘 하시던 말씀이 맞는 것 같습니다. “금은 늘 제자리로 돌아온다.” 최근 몇 년간의 경제 흐름을 보면, 금은 단기 투기보다는 장기 분산투자의 한 축으로 보는 게 맞는 방향 같습니다.
저는 앞으로도 금 시세를 꾸준히 체크하면서, 실물 금과 금 ETF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나갈 예정입니다. 금 투자에 대해 막연함을 느끼셨던 분들도, 이번 기회에 일부는 포트폴리오에 넣어보는 것을 진지하게 고민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골드바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근 금 투자 3개월, 1년 수익률과 투자 방법 총정리 (1) | 2025.05.05 |
---|---|
골드바 집 보관 vs 은행 금고 비교 (2) | 2025.05.01 |
골드바 증여, 지금 하면 유리할까? (0) | 2025.04.30 |
조폐공사 실버바 1kg, 은 투자 이렇게 시작하세요 (0) | 2025.04.20 |
프레스 vs 주물 골드바,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