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모어캐시입니다.
금은 수천 년 동안 가치 저장 수단 및 안전자산으로 자리 잡아 왔습니다.
하지만 투자 수익률 관점에서 금은 어떤 성과를 보여왔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역사적으로 금의 수익률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분석하고,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금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금 가격의 역사적 흐름
금 가격은 경제적, 정치적 상황에 따라 크게 변동해왔습니다.
주요 시기를 살펴보겠습니다.
(1) 금본위제 시대 (19세기~1971년)
과거에는 화폐가 금과 연동되어 있었기 때문에, 금 가격은 안정적이었습니다. 하지만 1971년 닉슨 대통령의 금태환 정지 선언 이후 금 가격은 시장에서 자유롭게 결정되기 시작했습니다.
(2) 1970년대~1980년대: 인플레이션과 금 가격 상승
1970년대 오일쇼크와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금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 1971년: 금 1온스당 약 35달러
- 1980년: 금 1온스당 850달러로 급등
이 기간 동안 10년간 금값이 2300% 상승하며 역사적인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3) 1990년대~2000년대 초반: 금 가격의 정체
경제가 안정되면서 금의 수요가 줄어들었고, 금 가격은 장기간 낮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 1999년: 금 1온스당 250달러 수준
(4)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금 가격의 급등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며 금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 2011년: 금 1온스당 1900달러 돌파
(5)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과 사상 최고가 경신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세계 경제가 불확실해지면서
금 가격은 2020년 8월, 사상 최고가인 2070달러를 기록했습니다.
(6) 2023년 이후: 금 가격의 지속적 상승
인플레이션 우려와 지정학적 불안정성으로 인해 2023~2025년에도 금 가격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 역사적 데이터로 본 금의 연평균 수익률
금 투자의 장기 수익률을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1971년~2023년: 연평균 수익률 약 7.8%
- 2000년~2023년: 연평균 수익률 약 9.0%
- 2011년~2023년: 연평균 수익률 약 5.5%
이는 주식 시장(연평균 8~10%)과 비교했을 때 낮거나 비슷한 수준이지만,
위기 시에는 주식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3. 금 투자의 수익률과 투자 전략
금 투자는 단기적인 시세 차익보다는 장기적인 가치 저장 및 위험 분산 전략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1) 포트폴리오 다각화
전문가들은 금을 포트폴리오의 5~10% 비율로 보유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는 금융위기 시 자산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2) 인플레이션 방어
인플레이션이 높은 시기에는 금이 화폐 가치 하락을 방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3) 단기 투기보다는 장기 투자
금은 배당 수익이 없는 자산이므로, 장기적인 안정성을 고려하여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마무리하며...
금 투자는 역사적으로 볼 때 경제 위기 시 강한 수익률을 기록하며, 장기적으로도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왔습니다.
하지만 배당이나 이자 수익이 없고, 장기적으로 주식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지는 않았습니다.
따라서 금 투자는 단독으로 하기보다는 포트폴리오 다각화 전략의 일환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앞으로도 경제 상황을 고려하며 금 투자를 검토해보세요!
'골드바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근 10년간 금 수익률 분석 (0) | 2025.03.23 |
---|---|
한국에서 상장된 금 ETF 종목 소개 (0) | 2025.03.23 |
2025 금 투자, 장점과 단점은? (0) | 2025.03.23 |
금 투자 시 세금은 얼마나 될까? (2025년 최신 기준) (0) | 2025.03.22 |
2025년 금 통장 개설 방법 (0)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