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골드바 투자

한국에서 상장된 금 ETF 종목 소개

by 모어캐시 2025. 3. 23.
반응형

 

 

안녕하세요. 모어캐시입니다.

 

금 ETF라고 들어보셨나요?

 

금은 오랜 기간 동안 안전자산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경제 불확실성이나 인플레이션에 대한 헤지 수단으로 투자자들에게 각광받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금에 투자할 수 있는 다양한 ETF(상장지수펀드)가 상장되어 있어,

투자자들이 손쉽게 금 시장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국에서 상장된 주요 금 ETF 종목과 그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1. KODEX 골드선물(H)

KODEX 골드선물(H)은 삼성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ETF로,

미국 COMEX에 상장된 금 선물 가격을 추종합니다.

환헤지(H) 전략을 통해 환율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합니다.

  • 종목 코드: 132030
  • 상장일: 2010년 3월 24일
  • 총보수: 연 0.68%
  • 기초지수: S&P GSCI Gold Index ER

 

 

 

2. TIGER 골드선물(H)

TIGER 골드선물(H)은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ETF로,

금 선물 가격을 추종하며 환헤지 전략을 적용합니다.

이를 통해 금 가격 변동에 집중한 투자가 가능합니다.

  • 종목 코드: 153130
  • 상장일: 2012년 10월 23일
  • 총보수: 연 0.39%
  • 기초지수: Bloomberg Gold Total Return Sub-Index

 

 

 

3. KBSTAR 골드선물(H)

KBSTAR 골드선물(H)은 KB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ETF로,

금 선물 가격을 추종하며 환헤지 전략을 통해 환율 변동 위험을 줄입니다.

  • 종목 코드: 114260
  • 상장일: 2011년 2월 14일
  • 총보수: 연 0.45%
  • 기초지수: S&P GSCI Gold Index ER

 

 

 

 

마지막으로 금 ETF 투자 시 유의사항

금 ETF 투자는 비교적 간편하게 금에 투자할 수 있는 수단이지만,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해야 합니다:

  • 환헤지 여부: 환헤지(H) 표시가 있는 ETF는 환율 변동에 대한 위험을 줄일 수 있지만, 환헤지가 없는 ETF는 환율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보수 및 수수료: ETF마다 운용 보수와 수수료가 다르므로, 투자 전에 이를 확인하여 비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 기초지수 확인: 각 ETF가 추종하는 기초지수가 다를 수 있으므로, 투자하려는 ETF의 기초지수를 확인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금 ETF는 실물 금을 보유하지 않고도 금 가격 변동에 투자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그러나 투자 전에 각 ETF의 특징과 수수료 구조를 충분히 이해하고,

자신의 투자 목적과 위험 감내도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