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머니톡톡

부부가 함께 준비하는 노후, 현금흐름 3단계 전략

by 모어캐시 2025. 4. 28.
반응형

 

은퇴를 준비중인 50대 남성

<목 차>


 

안녕하세요. 모어캐시입니다.

50대 중반이 되면 슬슬 이런 생각이 들기 시작합니다. "지금까지는 아이 키우느라 정신 없었는데,
앞으로 우리 부부가 매달 쓸 생활비는 어떻게 준비하지?" 어느 순간 부모님께서도 몇 년 전부터 이 문제로 고민이 많으셨어요.
은퇴 시점이 가까워질수록 현금 흐름이 끊기는 공포는 누구에게나 다가옵니다.
그래서 저는 세 가지 현금 흐름 축을 기준으로 포트폴리오를 제안드렸습니다.

 

 

 

 

 

1단계 : 국민연금 – 기본 생활비의 중심축

부부가 모두 국민연금을 가입한 경우, 평균적으로 월 100만원 이상 수령이 가능합니다.

저희 부모님께서는 맞벌이를 오래하셔서 국민연금 혜택을 제대로 보게 되셨습니다.

국민연금 정리표

💡 국민연금은 안정적이고 종신 지급되므로 기본적인 생활비(식비, 공과금 등) 커버용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단계 : 퇴직연금 or IRP – 중기 노후자금 보완

퇴직 후 바로 국민연금 수령까지 공백기가 생길 수 있는데, 이때를 메꿔주는 게 바로 퇴직연금과 IRP입니다.

  • IRP에서 연 600~900만원씩 연금 형태로 수령하면
    👉 세금도 절약되고
    👉 국민연금 외 생활비를 보완할 수 있습니다.

중기 노후자금 보완 정리표

💬 지인 어머님은 오래된 빌라를 세 놓으면서 매달 60만원의 안정적인 임대수익을 확보하고 계십니다. 저희 부모님께서는 소형 오피스텔과 항아리 상권의 상가 임대료로 임대수익을 얻고 계시고요.
이 금액은 의료비, 여행비 등 여유자금으로 활용하시고 계십니다.

 

 

 

 

결론 : 부부 현금흐름 전략, 이렇게 짜보세요

국민연금 + 퇴직연금 + 임대소득 조합이 지속 가능한 노후 현금흐름의 핵심입니다.

부부 현금흐름 전략 정리표

 

👉 합산 시 부부 기준 월 200~300만원 확보 가능
👉 안정성, 세금, 유동성까지 고려한 균형 포트폴리오

 

저도 언젠가 이런 완벽한 연금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겠지요? 솔직히 저희 부모님이 저는 너무 부럽습니다.

유전의 힘을 믿어보며...오늘도 열심히 살아가겠습니다.

반응형